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키타현 제2구

덤프버전 :


도호쿠 지방 국회의원
[ 중의원 의원 ]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아키타현 제2구
秋田県第2区
||
파일:shuinsen_Akita2.svg
선거인 수255,369명 (2022)
상위 도도부현아키타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미도리카와 다카시




1. 개요[편집]


아키타현의 북부 지역인 노시로시, 오다테시, 오가시, 카즈노시, 기타아키타시, 카타가미시, 카즈노군, 기타아키타군, 야마모토군, 미나미아키타군을 관할하는 일본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입헌민주당 소속 미도리카와 다카시.


2. 상세[편집]


대체적으로 자민당이 우세를 보이는 선거구다. 오랜 기간동안 농림수산대신과 방위청 장관을 지낸 노로타 호세이 전 의원의 기반이었다. 노로타는 고이즈미 전 총리의 우정민영화에 반발해 무소속으로 출마해 무소속-자민당-민주당의 3자대결 속에서도 당선될 정도로 지역 기반이 탄탄했다.

노로타가 은퇴를 선언했고 민주당이 압승한 2009년 제 45회 총선에서도 민주당은 독자 후보를 내지 않고 지역 기초단체장인 가와구치 히토시 후보에게 당선 후 민주당에 입당한다는 조건을 걸고 지원사격한 끝에야 겨우 1,351표차 승리를 거두었다. 이때 출마한 자민당의 가네다 가쓰토시 전 참의원 의원은 석패율 제도를 통해 당선되었고, 이후 제 46회, 47회 총선에서 압승했다.

하지만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가네다가 자민당이 압승하는 와중에도 희망의 당 미도리카와 다카시 후보에게 1,672표 차의 신승을 거두었다. 이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입헌민주당으로 출마한 미도리카와 다카시 후보가 여유있게 승리하면서 입헌민주당이 처음으로 지역구를 가져가게 되었다.

향후 선거 결과에 따라 치열한 경합지로 변할 가능성이 크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키타현 제2구
노시로시, 오다테시, 카즈노시, 카즈노군,
키타아키타군, 야마모토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노로타 호세이86,677표1위


54.94%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하타케야마 겐지로54,131표2위


34.31%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구도 료이치11,172표3위


7.08%낙선
파일:덕주회.png미우라 다쿠5,774표4위

자유연합

3.66%낙선
유효표 수157,754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키타현 제2구
노시로시, 오다테시, 카즈노시, 카즈노군,
키타아키타군, 야마모토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노로타 호세이89,428표1위


54.30%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하타케야마 겐지로49,443표2위


30.0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기쿠치 도키코13,090표3위


7.95%낙선
파일:자유당.gif구도 도미히로12,736표4위


7.73%낙선
유효표 수164,697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키타현 제2구
노시로시, 오다테시, 오가시, 카즈노시, 카즈노군,
키타아키타군, 야마모토군, 미나미아키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노로타 호세이109,296표1위


53.65%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사사키 시게히토55,969표2위


27.47%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야마모토 기요히로27,624표3위


13.56%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카시 기신10,838표4위


5.32%낙선
유효표 수203,727표투표율
66.14%
선거인 수315,801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키타현 제2구
{{{#fff
노시로시, 오다테시, 오가시, 카즈노시, 카즈노군,
키타아키타군, 야마모토군, 미나미아키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노로타 호세이80,974표1위

무소속

37.61%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노 다카키53,555표2위


24.88%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사사키 시게히토45,020표3위
20.91%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야마모토 기요히로28,131표4위
13.0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후지모토 가네지7,606표5위
3.53%낙선
유효표 수215,286표투표율
70.02%
선거인 수312,267인

우정민영화에 반발하다가 자민당에서 제명당한 노로타 호세이 의원이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자민당은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의 개혁노선을 내세워 압승했지만, 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노로타 의원의 기반을 넘어서지 못했다. 다른 의원들과 달리, 노로타는 임기 끝까지 자민당에 복당하지 않았다.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키타현 제2구
{{{#fff
노시로시, 오다테시, 오가시, 카즈노시, 카즈노군,
키타아키타군, 야마모토군, 미나미아키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가와구치 히로시93,951표1위
42.66%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네다 가쓰토시92,600표2위
42.04%비례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야마모토 기요히로23,719표3위
10.77%낙선
파일:다함께당 로고.png사사키 시게히토8,645표4위
3.92%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후지와라 준이치1,342표5위
0.61%낙선
유효표 수220,257표투표율
74.60%
선거인 수299,193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키타현 제2구
노시로시, 오다테시, 오가시, 카즈노시, 카즈노군,
키타아키타군, 야마모토군, 미나미아키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네다 가쓰토시91,747표1위
[1]51.48%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가와구치 히로시57,392표2위
[2]32.21%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이시다 히로시21,483표3위
12.0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토 구니야스7,581표4위
4.25%낙선
유효표 수178,203표투표율
63.28%
선거인 수288,595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키타현 제2구
노시로시, 오다테시, 오가시, 카즈노시, 카타가미시,
키타아키타시, 카즈노군, 키타아키타군,
야마모토군, 미나미아키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네다 가쓰토시82,046표1위
[3]54.70%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미도리카와 다카시56,701표2위
37.8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후지모토 가네지11,247표3위
7.50%낙선
유효표 수149,994표투표율
54.54%
선거인 수281,658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키타현 제2구
노시로시, 오다테시, 오가시, 카즈노시, 카타가미시,
키타아키타시, 카즈노군, 키타아키타군,
야마모토군, 미나미아키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네다 가쓰토시74,835표1위
[4]46.30%당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미도리카와 다카시73,163표2위
45.26%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후지모토 유리13,642표3위
8.44%낙선
유효표 수161,640표투표율
60.12%
선거인 수276,022인

3년 전의 선거에서 가네다 후보는 미도리카와 후보를 17% 차이로 제치는 압승을 거두었다. 하지만 법무대신으로 임명된 이후, 논란이 많은 테러대책법을 강행처리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면서 인기를 많이 잃었다. 전통적인 자민당 우세인 선거구이지만, 이번에는 개표 내내 엎치락뒤치락 하다가 미도리카와 후보를 상대로 겨우 1% 차이로 신승했다. 미도리카와는 이번에 석패율 제도를 통해 초선 의원이 되었다.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키타현 제2구
노시로시, 오다테시, 오가시, 카즈노시, 카타가미시,
키타아키타시, 카즈노군, 키타아키타군,
야마모토군, 미나미아키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미도리카와 타카시81,845표1위
52.54%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네다 가쓰토시73,945표2위
[5]47.46%비례당선
유효표 수155,790표투표율
61.23%
선거인 수258,567인

49회 중원선 아키타현 제2구 개표 결과
정당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격차투표율
후보미도리카와 타카시가네다 가쓰토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1,845
(52.54%)
73,945
(47.46%)
+ 7,900
(△5.08)
155,790
(61.23%)
노시로시51.8%48.2%△3.660.48
오다테시57.9%42.1%△15.861.97
오가시47.6%52.4%▼4.859.99
가즈노시53.2%46.8%△6.459.21
카타가미시51.9%48.1%△3.857.11
기타아키타시51.9%48.1%△3.862.35
고사카정57.3%42.7%△14.668.78
후지사토정46.6%53.4%▼6.870.97
미타네정48.4%51.6%▼3.261.21
핫포정43.4%56.6%▼13.262.61
고조메정51.8%48.2%△3.661.62
하치로가타정52.7%47.3%△5.466.50
아카와정47.4%52.6%▼5.263.06
카미코아니촌47.6%52.4%▼4.874.76
오가타촌45.5%54.5%▼9.070.59

현역 자민당 가네다 가쓰토시 의원과, 국민민주당을 거쳐 입헌민주당 소속이 된 미도리카와 다카시 의원이 3번째로 맞붙는다. 자민당과 입헌민주당 이외의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가 출마하지 않아 1대1 승부가 치러진다.

전통적으로 자민당 우세 선거구이지만 지난 총선에서 예상밖의 접전이 펼쳐졌는데, 이것이 테러대책법에 반발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이었는지, 아니면 자민당과 가네다 의원에 대한 영구적인 지지율 하락인지에 대한 평가가 제각각이다. 총선 결과에 따라 후자의 해석이 맞았던 것으로 끝났다.

투표 결과, 입헌민주당 미도리카와 후보가 5% 차이로 승리를 거두며 자민당으로부터 9년만에 지역구를 탈환했다. 본인의 첫 지역구 승리이기도 하다. 자민당 가네다 후보는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구제되었다.

당선 확정 후 환호하는 미도리카와 다카시 진영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입헌민주당에서는 미도리카와 다카시 의원의 3선 도전이 예상된다.

자유민주당에서는 지난 총선에서 지역구에서 패하고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로로 당선된 가네다 가쓰토시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함에 따라 새 후보가 나온다. 가네다 의원의 경우 만 73세를 넘겼기에, 차기 총선에서는 자민당 내규에 따라 지역구 및 비례대표로 중복출마가 불가능하다. 즉 지역구에서 패배해도 비례대표로 당선될 수 없고, 이러한 점이 불출마의 큰 원인이라는 분석이 있다. 후임으로 후쿠하라 준지 오다테시장이 지부장으로 선임되었다.

일본공산당에서는 48회 총선에 출마한 후지모토 유리 후보가 다시 공천을 받았다. 다만 출마했을때 표가 갈려 자민당이 어부지리로 승리한 과거가 있으므로, 중앙당의 방침과는 상관 없이 지역 정당 조직끼리 협의해 단일화를 다시할수도 있다.

[1] 추천[2] 추천[3] 추천[4] 추천[5] 추천